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 재테크의 필수템으로 자리 잡은 청년도약계좌에 2025년에는 더 강력해진 정부 지원과 비과세 혜택으로 인해, 많은 청년들이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단순한 저축이 아니라, 정부가 함께 돈을 모아주는 계좌라는 점에서 실질적인 목돈 마련이 가능한 제도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을 하나하나 꼼꼼히 정리해드립니다. 가입 전 반드시 체크하세요!
정부 기여금 지원 (최대 198만 원)
정부는 월 납입 금액의 3~6%를 추가로 적립해줍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기여율이 높아져, 최대 월 33,000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 총급여 2,400만 원 이하: 6.0% (최고 혜택)
- 총급여 2,400만~3,600만 원: 4.6%
- 총급여 3,600만~4,800만 원: 3.7%
- 총급여 4,800만~6,000만 원: 3.0%
- 총급여 6,000만~7,500만 원: 0% (기여금 제외)
📌 매년 소득 기준에 따라 5번(연 1회씩) 심사가 진행되며, 이에 따라 **기여금 지급 여부와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5년 기준 최대 198만 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
이자소득 100% 비과세
일반적인 예·적금 상품은 **이자소득세 15.4%**를 납부해야 하지만,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시 이자 전액이 비과세입니다.
- 예: 만기 이자 200만 원 → 일반 적금은 세금 약 30만 원 차감 → 청년도약계좌는 세금 0원!
👉 실수령 이자 수익이 많아지기 때문에 복리 효과까지 기대 가능합니다.
은행별 우대금리 (최대 연 1.5%)
신청 은행에 따라 다음과 같은 우대금리 조건이 주어집니다.
주요 우대금리 조건 예시:
- 급여 이체 실적 보유
- 자동이체 등록
-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 사용 실적
- 마이데이터 서비스 연동
- 마케팅 수신 동의
👉 우대 조건을 충족하면 기본 금리에 연 1.5% 이상 추가 금리가 붙어, 총 수익률이 높아집니다.
은행별 조건은 다르므로 반드시 사전 비교 후 선택하세요.
실질 수익률 효과: 최대 9.5% 이상
정부 기여금 + 비과세 + 우대금리를 모두 적용하면
실제 연 수익률이 9.5% 이상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매달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하면
👉 총 저축액은 4,200만 원
👉 정부 기여금 + 이자소득 + 우대금리 포함 시
👉 최대 약 5천만 원까지 목돈 마련 가능!
이러한 복합 혜택은 일반 적금이나 청년적금과 비교해도 월등히 높은 수준입니다.
중도해지 시에도 일부 혜택 유지
계좌를 만기까지 유지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지만,
중도에 해지하더라도 3년 이상 유지했다면 일부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1년 미만 해지: 기여금 미지급 + 기본 이자 일부만 수령
- 1년 이상~3년 미만 해지: 기여금 일부 환수
- 3년 이상 유지 후 해지: 정부기여금 최대 60%까지 수령 가능
또한, 아래와 같은 특별 사유로 해지할 경우, 기여금 전액 지급이 유지됩니다.
특별 해지 사유:
- 혼인, 출산
- 주택 구입
- 질병·사망 등 불가피한 상황
정리하면? 청년도약계좌 5대 혜택 요약
항목 | 혜택 내용 |
정부 기여금 | 월 최대 33,000원, 최대 198만 원 (5년 기준) |
비과세 | 이자소득 100% 비과세, 실수령 이자 ↑ |
우대금리 | 조건 충족 시 연 1.5% 이상 추가금리 |
실질 수익률 효과 | 최대 연 9.5%, 약 5천만 원 자산 형성 가능 |
중도해지 조건 | 3년 이상 유지 시 일부 기여금 수령, 특별 해지 시 전액 보장 |
💡TIP
- 가입 대상 조건만 충족한다면, 재테크 입문자부터 직장인까지 모두에게 유리
-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기여율이 높고, 비과세 + 우대금리까지 겹치면 실수익이 상당
- 반드시 신청 시 은행별 금리 및 우대 조건 비교하고 선택하세요!